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 참여를 돕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공공 일자리, 직업훈련, 개인사업(창업)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장애인 일자리 통합지원센터에서는 공공 일자리 취업 지원, 맞춤형 직업훈련, 창업 교육 및 자금 지원 등을 제공하여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적극적으로 돕고 있습니다.
장애인 공공 일자리 프로그램
1. 장애인 공공 일자리 유형 및 근무 조건
유형 | 주요 직무 | 근무 시간 | 급여 수준 |
---|---|---|---|
일반형 일자리 | 사무보조, 시설관리, IT 지원 | 주 40시간 | 최저임금 이상 |
복지형 일자리 | 행정 업무 지원, 자료 정리 | 주 20~30시간 | 월 60~100만 원 |
특화형 일자리 | 발달장애인 바리스타, 환경미화 | 주 15~30시간 | 최저임금 수준 |
2. 장애인 공공 일자리의 혜택
- 안정적인 소득 보장
- 근로지원인 배치 가능 (중증 장애인 대상)
- 4대 보험 가입 및 고용안정 지원
- 공공기관 및 지자체 채용 기회 제공
3. 신청 방법
- 장애인일자리포털 방문
-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또는 거주지 주민센터 신청
- 직업 상담 후 적합한 일자리 연계
- 채용 후 직무 교육 및 근로 지원 서비스 제공
4. 필요 서류
- 장애인등록증 또는 복지카드
- 구직신청서 및 이력서
- 소득증빙 서류(일부 일자리 지원 시 필요)
장애인 맞춤형 직업훈련 프로그램
1. 직업훈련 과정 유형 및 교육 기간
훈련 과정 | 주요 교육 내용 | 훈련 기간 | 지원 혜택 |
---|---|---|---|
사무직 훈련 | 문서 작성, 전산 활용 | 3~6개월 | 교재 제공, 훈련비 지원 |
IT·컴퓨터 과정 | 웹 디자인, 데이터 입력 | 6~12개월 | 교재·실습비 지원 |
제조업 훈련 | 조립, 포장, 검수 업무 | 3~6개월 | 월 30~50만 원 지급 |
서비스직 훈련 | 바리스타, 마트 계산원 | 3~6개월 | 자격증 취득 지원 |
전문기술 과정 | 기계 조작, 용접, 전기기술 | 12~24개월 | 훈련비 전액 지원, 취업 연계 |
창업 교육 | 창업 실무, 마케팅 교육 | 6~12개월 | 창업 지원금 최대 500만 원 지원 |
2. 주요 직업훈련 기관
-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직업능력개발원
- 국가인적자원개발센터
- 지자체 장애인 직업훈련센터
3. 신청 방법
- 직업훈련포털 방문
-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신청
- 면접 및 적성 검사 후 과정 배정
장애인 개인사업(창업) 지원 제도
1. 창업 지원 유형
지원 항목 | 지원 내용 |
---|---|
창업 지원금 | 최대 5,000만 원 창업 자금 지원 |
창업 컨설팅 | 사업계획서 작성, 경영·마케팅 교육 |
세금 감면 | 창업 후 5년간 법인세·소득세 감면 |
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| 창업자금 저금리 대출(연 2% 이하) |
온라인 창업 지원 | 쇼핑몰 운영, 온라인 마케팅 교육 |
2.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
- 장애인복지법상 등록 장애인
- 사업자등록을 준비 중이거나 창업 1년 미만 사업자
- 신청 방법:
-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신청
-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창업 지원 센터 방문 신청
- 사업계획서 및 창업 교육 수료 후 지원금 지급
3. 창업 유형 예시
- 장애인 맞춤형 쇼핑몰, SNS 마케팅 사업
- 카페, 편의점, 세탁소 운영
- 청소 서비스, 생활 편의 서비스
- 3D 프린팅, 공예, 디자인 스튜디오
장애인을 위한 공공 일자리, 직업훈련, 개인사업(창업) 지원 제도는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한 핵심 정책입니다.
- 공공 일자리: 다양한 직무에서 장애인의 근로 환경을 개선하며, 최저임금 보장 및 근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- 직업훈련: IT, 제조업,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무료 교육 및 실습 기회 제공으로 취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- 개인사업(창업) 지원 제도: 창업 자금, 컨설팅, 세금 감면 등을 통해 장애인의 창업 성공을 돕는 중요한 지원책입니다.
공공 및 민간 일자리를 희망하는 장애인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, 장애인일자리포털을 통해 신청하면 적합한 일자리 및 훈련 기회를 얻을 수 있으므로,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